티스토리 뷰

1. 패키지 설치 & 클러스터 초기화

# 1. PGDG 레포지토리 등록 (CentOS 7 기준)
sudo yum install -y \
  https://download.postgresql.org/pub/repos/yum/15/redhat/rhel-7-x86_64/pgdg-redhat-repo-latest.noarch.rpm

# 2. PostgreSQL 15 서버 및 클라이언트 패키지 설치
sudo yum install -y postgresql15-server postgresql15

# 3. 데이터 디렉토리 초기화 (클러스터 생성)
/usr/pgsql-15/bin/postgresql-15-setup initdb

# 4.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시 자동실행 설정
sudo systemctl enable --now postgresql-15

# 5. 초기화된 데이터 디렉토리 내용 확인
ls -l /var/lib/pgsql/15/data

# 6. 클러스터(서버) 상태 확인
sudo systemctl status postgresql-15


2. 서비스 등록 및 기동

sudo systemctl enable postgresql-15
sudo systemctl start  postgresql-15
sudo systemctl status postgresql-15

 

3.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

sudo -u postgres psql


4. 설정 파일 위치 확인

show config_file;  -- postgresql.conf 경로
show hba_file;     -- pg_hba.conf 경로

 

5. 접속 허용 범위 확장

# postgresql.conf
listen_addresses = '*'

# pg_hba.conf
host    mydb            chanung         ip주소/32               scram-sha-256
host    mydb            chanung         192.168.4.0/24          trust

# 설정 반영
sudo systemctl reload postgresql-15

 

6. 사용자, DB 생성 및 권한 부여

create role chanung login password '•••';
create database mydb owner chanung;
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 mydb to chanung;


'CS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ostgreSQL의 VARCHAR에서 실제 바이트 수  (0) 2025.03.28